728x90
반응형
경제 뉴스 기사를 읽었다.
미 실질금리 급등.....자금 대이동 초읽기
한국도 실질금리 마이너스 탈출!!
한미 금리차에 원화약세 우려
기사 내용에는 실질금리, 명목금리, 물가상승률, 인플레이션
환율 원화 약세 다 이것들은 무슨 관계일까??
명목금리와 실질금리, 인플레이션의 관계
우선 사전적 의미를 보면
실질금리란?
물가상승을 감안한 이자율
명목금리란?
돈의 가치변동을 고려하지 않고 외보로 표현된 표면상의 금리
따라선 실질금리 = 명목금리 - 예상 인플레이션(물가상승률)
예를 들어 실질금리가 마이너스다 라는 말은 은행에 저축을 해도 그 이자는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면 돈의 가치는 떨어졌다는 뜻이다.
실질금리 마이너스 탈출~!이라는 뜻은
은행 저축을 하면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더라도 돈의 가치는 떨어지지 않았다.
그렇다면 무엇이 달라질까?
실질금리가 + 값을 가지게 된다면 사람들은 투자나 소비보다는 저축을 더 선호할 것이다.
기업의 입장에서는 투자할 때 기회비용으로 실질 금리 지표를 활용해서 실질금리가 오르면
투자에 대한 기회비용도 늘어나 투자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.
실질금리와 환율의 관계는?
그렇다면 실질금리와 환율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 것일까?
환율과의 관계를 지을려면 각 국의 실질금리를 알아야한다.
예를들어 유럽의 실질금리가 1%이고 미국의 실질금리가 2%라고 가정을 하자
그렇다면 미국의 채권에 투자를 하면 유럽보다 더 이득을 본다는 것이다.
따라서 외국인들의 투자 자금이 미국으로 이동하는 것을 촉발해서 외환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.
728x90
'제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국 경제 용어 700선(가교은행 , 가동률) (0) | 2023.09.26 |
---|---|
한국은행 경제용어 정리 700선(feat. 가계부실위험지수, 가계수지) (0) | 2023.09.02 |
부산 동백패스로 월 최대 4만 5천원 아껴보자!!(feat. 교통비 절약 방법) (0) | 2023.08.04 |
CPI란? CPI와 인플레이션, 금리, 긴축정책의 관계 (0) | 2023.07.14 |
대출금 상환방식(FEAT. 원리금 균등상환 ,원금 균등상환) (0) | 2023.06.24 |
전용면적, 주거 공용면적, 공급면적, 계약면적이란? (0) | 2023.05.26 |
퇴직연금 3탄! 퇴직연금 펀드구성종목 (0) | 2023.05.17 |
개인연금저축펀드 구성 종목 및 수익률(etf편) (0) | 2021.11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