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제테크

명목금리, 실질금리

by 요냥 저냥 2023. 7. 10.
728x90
반응형

경제 뉴스 기사를 읽었다.

 

미 실질금리 급등.....자금 대이동 초읽기

 

한국도 실질금리 마이너스 탈출!!

한미 금리차에 원화약세 우려

 

기사 내용에는 실질금리, 명목금리, 물가상승률, 인플레이션

환율 원화 약세 다 이것들은 무슨 관계일까??

 

명목금리와 실질금리, 인플레이션의 관계


우선 사전적 의미를 보면

실질금리란?

물가상승을 감안한 이자율

명목금리란?

돈의 가치변동을 고려하지 않고 외보로 표현된 표면상의 금리

 

따라선 실질금리 = 명목금리 - 예상 인플레이션(물가상승률)

 

예를 들어 실질금리가 마이너스다 라는 말은 은행에 저축을 해도 그 이자는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면 돈의 가치는 떨어졌다는 뜻이다.

 

실질금리 마이너스 탈출~!이라는 뜻은 

은행 저축을 하면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더라도 돈의 가치는 떨어지지 않았다.

 

그렇다면 무엇이 달라질까?

실질금리가 + 값을 가지게 된다면 사람들은 투자나 소비보다는 저축을 더 선호할 것이다.

 

기업의 입장에서는 투자할 때 기회비용으로 실질 금리 지표를 활용해서 실질금리가 오르면

투자에 대한 기회비용도 늘어나 투자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.

 

실질금리와 환율의 관계는?


그렇다면 실질금리와 환율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 것일까?

 

환율과의 관계를 지을려면 각 국의 실질금리를 알아야한다.

 

예를들어 유럽의 실질금리가 1%이고 미국의 실질금리가 2%라고 가정을 하자

그렇다면 미국의 채권에 투자를 하면 유럽보다 더 이득을 본다는 것이다. 

따라서 외국인들의 투자 자금이 미국으로 이동하는 것을 촉발해서 외환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.

728x90